네트워크
-
[네트워크] 로드 밸런싱네트워크 2024. 10. 13. 20:22
로드 밸런싱 이란 기술을 소개 할건데 우선 이 로드 밸런싱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게 왜 등장하게 되었는지 알아야 한다 지금은 it 산업의 시대이다 인터넷이 발달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이 활발해졌다그로 인해서 네트워크 트래픽이 엄청나게 증가 하게 되었다 그래서 아무리 성능이 좋은 서버를 갖추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렇게 늘어난 트래픽을 감당하기 어려워졌다이런 점으로 인해 서버를 추가로 설치하고 여러 서버에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수많은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분산 처리 한다하지만 단순하게 이렇게 분산 처리하면 데이터의 일관성이 맞을까? 라는 답변을 놓게 된다 이에 필요한 기술이 로드 밸런싱이라는 기술이다 이렇게 데이터 일관성 문제라고 하면 감이 안올것 이다 작자도 그랬다 좀 더 깊게 보면 여러 서버에서 동일한 ..
-
[네트워크] Socket 이란?네트워크 2024. 9. 1. 03:03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의 끝점을 의미한다즉, 소켓은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프로그램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이다OSI 7계층 중에서 응용 계층 즉, 7계층 에 속하는 프로세스들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반드시 소켓을 거쳐서 전송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해야 한다다시 말해 소켓은 전송 계층과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인터페이스역할을 하고 두 호스트를 연결한다 소켓의 3요소IP 주소서버등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포트 번호(Port)동일한 IP 주소 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숫자프로토콜(Protocol)통신 방식이나 규칙을 정의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이렇게 세가지 요소는 함께 사용되어 소켓을 ..
-
[네트워크] TCP/IP 4계층네트워크 2024. 7. 11. 02:20
글을 작성하기에 앞서TCP/IP 4계층과 OSI 7계층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 보겠다OSI 7계층에 대해서는 아래글을 참고하면 된다https://hyeonni.tistory.com/85 [네트워크] OSI 7계층 7 LayerOSI 7계층이란?1984년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써,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만든 표준 규격이다초창기의 네트워크는 각 컴퓨터마다 시스hyeonni.tistory.comTCP/IP 4계층과 OSI 7계층 차이 두 계층 모두 데이터 통신을 표현한 계층이다OSI 7계층은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계층과 역할을 정확하게 정의한 모델TCP/IP 4계층은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고 좀 더 실무적이면서 프로토콜 중심으로 단순화된..
-
[네트워크] OSI 7계층 7 Layer네트워크 2024. 7. 9. 00:36
OSI 7계층이란?1984년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써,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만든 표준 규격이다초창기의 네트워크는 각 컴퓨터마다 시스템이 달랐기 때문에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변경 없이 통신할 수 있는 표준 모델이 나타나게 됨 프로토콜MAC라우팅 만들어진 배경 초기에 여러 정보 통신 업체 장비들은 자신의 업체 장비들끼리만 연결이 되어 호환성이 없었다그것의 표준을 정한것이 OSI 7계층 이다 특징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구분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개방형 시스템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이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하위의 모든 계층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설계가 간단해지고 통신이 일어나는 흐름을 한눈..
-
[네트워크] 쿠키(Cookie), 세션(Session), 토큰(Token)네트워크 2024. 6. 9. 20:31
💡이걸 왜 쓸까?http 특징때문이다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전송의 기본이 되는 프로토콜이다이 http는 비연결성(connectionless), 비상태성(stateless)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이런 특징으로 서버는 확장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Connectionless 프로토콜(비연결 지향)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했을 때, 요청에 맞는 응답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처리방식이다.Stateless 프로토콜(상태정보 유지 안함)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않는 서버 처리 방식이다. 클라이언트와 첫번재 통신에 데이터를 주고 받았다 해도, 두버재 통신에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않는다. 문제점 한 사람이 웹사이트를 사용하기 위해 서버에 보내는 모든 요청은 연결성이 없어서 항상 다른..
-
[네트워크] 3-way handshake 와 4-way handshake네트워크 2024. 5. 10. 22:57
이 글은 TCP의 접속과 해제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는 글이다 기본적인 TCP 정보를 알고 싶으면 아래 글을 참고 하면 된다 https://hyeonni.tistory.com/44 [네트워크] TCP 와 UDP전송 계층 (Transport Layer)프로토콜 : TCP, UDP양 끝단의 사용자들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vs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전송 계층 : Applicationhyeonni.tistory.com💡 3-Way Handshake3-Way Handshake는 한마디로 말하면 TCP의 접속 과정이다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TCP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설정 하는 과정이다양쪽에서 모두 데이터를 전송할 ..
-
[네트워크] TCP 와 UDP네트워크 2024. 5. 9. 22:18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프로토콜 : TCP, UDP양 끝단의 사용자들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vs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전송 계층 : Application 프로세스들 간의 논리적인 통신을 제공 한다네트워크 계층 : host 간의 논리적인 통신을 제공한다 💡TCP vs UDP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세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이다TCP와 IP는 함께 사용하고 IP는 배달, TCP는 패킷의 추적 및 관리를 하게 된다패킷을 세그먼트라고 한다 특징신뢰적이고 연결지향성 서비스를 제공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높은..